콩나물 삶는 법 하얀콩나물무침 레시피
머리 부분의 꼬들꼬들한 식감과 줄기 부분의 아삭한 식감을 동시에 맛볼 수 있고 줄기 끝에 집중된 아스파라긴산으로 인해 시원한 맛을 내는 콩나물은 재료 자체의 특성에 따라 국이나 무침으로 조리해 먹기 좋은 재료이지만 국물로 조리하는 방법은 이미 여러 번 소개해드렸기 때문에 오늘은 무침 요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보려고 합니다.

하얀콩나물무침을 처음 만드시는 분들도 쉽게 따라하실 수 있도록 이번 콘텐츠를 통해 콩나물의 아삭아삭한 식감이 유지되도록 삶는 방법부터 각종 부재료 손질법 하얀콩나물무침 조미료 레시피 및 알아두면 좋은 요리 팁까지 모두 설명드리오니 고춧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하얀 콩나물 무침 레시피가 필요하신 분들은 본문 내용을 꼼꼼히 읽어보시고 포인트가 될 만한 사항을 챙겨주시기 바랍니다.
– 준비할 재료 –

콩나물 300g 간것 마늘 2/3T 작게 썬 대파 2T 참치액 1T 꽃소금 1/2t 참기름 1T설탕 1/2t 참깨 콩나물 약간 데칠때 물 400ml 소금 1/2T
계량단위T(Tablespoon)= 15mlt(Teaspoon)= 5ml 하얀 콩나물무침의 특징을 잘 살릴 수 있도록 감칠맛 나는 참치액을 메인 양념 재료로 활용하여 조리해 보았습니다.

1. 제시한 만큼 콩나물을 준비한 후 깨끗이 씻어주세요. (소포장으로 유통되는 콩나물은 공장에서 세척을 완료한 상태로 판매하니 흐르는 물에 가볍게 세척해주세요)
2. 냄비에 물 400ml를 채우고 소금 1/2T를 넣고 잘 섞은 다음 콩나물을 넣고 4분 정도 끓이면 되는데 위 4장의 사진 중 왼쪽 하단의 사진처럼 가운데 한 번씩 섞어 전제적으로 골고루 익혀주세요.숙주를 데치는 물에 소금을 녹이면 삼투압 원리에 따라 원재료의 풍미와 영양 성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을 수 있지만 아삭아삭한 식감 대신 부드러운 식감을 내기 때문에 아삭아삭한 식감을 강조하고 싶다면 소금 대신 식초를 1T 정도 넣고 삶으세요.물이 끓기 시작했을 때부터 4분이 아니라 소금을 녹인 찬물에 콩나물을 넣은 시점부터 4분이기 때문에 시간을 잘 지켜서 삶는 동안 냄비 뚜껑을 열어두고 비린내가 나지 않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적당한 시간만큼 삶은 콩나물을 빠르게 찬물에 씻어 아삭아삭한 식감을 조금 더 살린 후 물기를 어느 정도 닦아낸 후 체에 걸러 표면에 남은 물기까지 완전히 제거해 주세요.
4. 주재료인 콩나물을 데치는 시간동안 부재료를 준비해주세요 대파는 위 사진처럼 작은 크기로 썰고 마늘은 다져서 2/3T 정도 분량으로 준비해주세요. (마늘을 다지거나 갈면 알리신으로 분해되어 알리신으로 변해 특유의 풍미가 짙어지므로 무침요리를 할 때는 마늘을 갈거나 다져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넉넉한 크기의 그릇에 삶은 콩나물을 넣고 다른 양념 재료를 첨가하기 전에 설탕부터 넣어 단맛을 내세요. (나트륨 성분은 재료를 조이는 역할을 하므로 소금과 설탕을 함께 넣고 버무릴 경우 분자 크기가 큰 설탕이 재료에 잘 스며들지 않으므로 설탕을 먼저 넣어 단맛을 내는 것이 좋습니다.)
6. 설탕을 먼저 넣고 버무린 콩나물에 대파와 마늘을 넣은 후 꽃소금 1/2t, 참치액 1T, 참기름 1T, 약간의 깨를 넣고 골고루 버무려 하얀 콩나물 무침을 완성하세요.캡사이신 성분이 있는 고춧가루를 첨가하게 되면 콩나물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비타민C의 흡수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부분도 체크하시고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완성된 요리를 적당한 크기의 접시에 옮겨 놓고 참깨를 살짝 뿌려 마무리해 보았습니다만, 부드럽고 바삭한 식감이 사진에서도 잘 전달되는 것 같네요.
참치액과 참기름이 첨가된 무침 요리이기 때문에 풍미가 상당히 뛰어나기 때문에 참치액을 넣고 조리한 적이 없다면 제가 알려드린 레시피를 참고해서 만들어보시기 바랍니다.